글자크기
· 비교기준값(baseline): ESG 경영활동이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에도 발생했을 결과물을 고려하기 위한 요소
1) 시장 평균/법 기준 비교: 수혜자들이 선택가능한 평균적 상태나 법적 요구치와 비교하여 기대 수준 초과분을 측정함
2) 영 기준 비교: GH의 활동이 전무한 상태와 비교하여 GH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성과를 측정
· 재무적 대용치(proxy): 정확한 측정치를 얻기 어려운 가치를 대체할 수 있는 근사치를 의미하며, ESG성과 특성에 따라
다음의 세 가지 측면의 근사치를 순차적으로 적용함
1) 시장접근법(일반시장가격): 동일 또는 유사한 활동의 평균 시장가격
2) 직접가치이전: 조직의 자원이 수혜자에게 이전되는 금액
3) 비용접근법(투입비용): 조직의 가치창출 활동을 위해 투입한 자원의 비용
표준산식요소 | GH ESG 경영활동 결과 | 비교기준값(baseline): 영 기준 비교 | 재무적 대용치(proxy): 시장접근법 | 제공횟수 |
---|---|---|---|---|
활용자료 |
도시공원조성으로 인한 탄소저장량 증가량 | 공원이 없는 상태 | 탄소의 사회적비용 | 공원 수 |
82.90 | 0 | 58374.6원 | 1개소 | |
측정식 | 도시공원조성으로 인한 탄소저장량 증가량 x 탄소의 사회적비용 x 공원 수 = (공원면적 x 단위면적당 탄소저장량3) + 식재 본수 x 한 그루의 탄소저장량4) x 탄소의 사회적비용 x 공원 수 |
|||
21년도 측정 | (1.27 x 17.3 + 1761 x 0.0346) x 58374.6 x 1 | |||
화폐화금액 | 4,839,347.7원 |
해당 페이지의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?
본인인증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.